[KRC 대답] 정직한 먹거리 고집으로 21년 유기농 김치로 성공을 거둔다 <담채원>
KRC가 대답한다
Interview 정직한 먹거리 고집으로 21년 유기농 김치로 성공을 거둔 담채원
Q. 사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니까?
A. 1989년부터 농산물 유통을 해왔습니다. 어느 날 고등학교에 납품하러 갔는데 식당 한 켠에 700kg의 김치가 쌓여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그 많은 양의 김치를 급식실에서 일주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학생들을 먹일 거예요.얼마나 관리하기 힘드실까요? 그래서 2000년에 김치 회사를 설립했습니다.
Q. 유기농 김치를 고집한 이유가 있나요?A. 학생들이 먹는 것이기 때문에 정직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덕분에 고지식하다는 평가도 받아야 했습니다.중국산 김치 10kg 한 상자가 7,500원이라면 국산 유기농 김치는 4만원이었습니다.가격 경쟁력에서 밀리자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지 못했어요.유기농에 대한 인식이 부족할 때였어요.Q. 힘들 때도 있었겠네요.A. 2008년에 김치 공장을 그만두려고 했습니다.사업이 너무 어려워서 농협에 취직하려고 강원도까지 올라갔어요.면접 끝에 농협 마케터로 합격했는데 문득 여기서 그만둘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그러던 중 2008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유기가공품 인증을 시작하면서 처음으로 유기가공품 인증을 받게 되었습니다.Q. 유기가공품 인증은 무엇인가요?A. 구매 및 운송내역, 가공 등의 전 과정을 국가기관이 송장 및 영수증까지 엄격하게 검사해 유기농 제품임을 인증하는 제도입니다.이러한 제도가 생겼다는 것은 유기농에 대한 국가기관과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했고, 화학농약을 사용한 값싼 김치에 대항할 수 있는 경쟁력이 생겼다는 것이기도 했습니다.Q. 농촌융복합산업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받으셨다고?A. 현재 전국 140개 유기농 농산물 생산 농가와 배추, 무, 무, 무, 건고추 등 주요 김치 재료를 1,500톤 가량 계약 재배하여 지역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2020년 9월 농림축산식품부 주관으로 실시간 ‘제8회 농촌융복합산업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차지하기도 했습니다.Q. 매출도 많이 올랐다고 들었어요.A. 오프라인 로컬 푸드샵은 물론 온라인에서도 판로를 다양화하고 있습니다.2017년부터는 홍콩과 미국 등 해외 시장에 진출했습니다.덕분에 2019년에는 약 47억원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2013년에 비해 약 500%의 성장을 이끌어낸 것입니다.안전한 먹거리, 친환경 먹거리에 대한 믿음으로 버텨온 덕분에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Q. 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입니까?A.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해외 수출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하지만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매출 성장을 이끌어낸 만큼 앞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를 극복한 후에는 김치 수출에 힘써 세계에 한국의 김치를 알리고자 합니다.앞으로도 유기농 농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 소비자의 인식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담채원을 응원해 주시기 바랍니다.A.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해외 수출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하지만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매출 성장을 이끌어낸 만큼 앞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를 극복한 후에는 김치 수출에 힘써 세계에 한국의 김치를 알리고자 합니다.앞으로도 유기농 농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 소비자의 인식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담채원을 응원해 주시기 바랍니다.A.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해외 수출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하지만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매출 성장을 이끌어낸 만큼 앞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를 극복한 후에는 김치 수출에 힘써 세계에 한국의 김치를 알리고자 합니다.앞으로도 유기농 농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 소비자의 인식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담채원을 응원해 주시기 바랍니다.